logo
Search검색어를 포함하는 게시물들이 최신순으로 표시됩니다.
    Table of Contents
    [BlogDev] 블로그 헤딩 꾸미기

    이미지 보기

    [BlogDev] 블로그 헤딩 꾸미기

    블로그 포스트의 헤딩을 꾸며보자.

    • 21.12.25 작성

    • 읽는 데 3

    TOC

    1. Heading

    Heading은 표제라는 뜻으로, 일단 포스트의 내용과 달리 제목을 설정하는 것인데, h1부터 h6까지 다르게 구분하여 제목을 나눈다. 나는 보통 포스트 내에서 h2를 상위 제목으로, 그 이후 h3를 차상위로 사용하는 편이다.


    2. Heading Decoration의 필요성

    포스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내용과 제목의 구분이 불명확해진다. 물론 toc을 이용해 목차를 만든다면 원하는 섹션으로 이동할 수 있겠지만 구분이 필요하다. 이에 대한 불편을 계속 겪고 있었기 때문에 폰트 색을 바꿔보고자 하였다.

    image

    (정말 구분이 안 되는 상황)


    3. 속성 변경

    Minimal Mistakes의 경우 📂_sass/📃_base.scss 파일의 h2, h3 를 찾아 속성을 추가해준다.


    가. 글자색 변경

    글자의 색을 변경하는 속성은 color: 원하는 색상;이다. 나의 경우 h2는 lightsalmon, h3은 lightyellow 색상을 선택했다.

    h2 {
      font-size: $h-size-2;
      color: lightsalmon;
    }
    
    h3 {
      font-size: $h-size-3;
      color: lightyellow;
    }
    

    결과

    image

    나. 그림자 설정

    h2의 경우 lightsalmon으로 티가 확 나는 색이지만, h3의 경우 lightyellow로 너무 티가 나지 않기도 했다. 하지만 하위 heading의 색을 너무 티나게 하고 싶지는 않았다. 그래서 text-shadow 속성을 통해 그림자를 설정하고자 한다.

    text-shadow: (가로길이) (세로길이) (색상);
    

    나는 h2와 h3의 text-shadow 길이를 모두 0.1em으로 설정하고 색상은 black으로 설정하였다.

    h2 {
      font-size: $h-size-2;
      color: lightsalmon;
      text-shadow: 0.1em 0.1em black;
    }
    
    h3 {
      font-size: $h-size-3;
      color: lightyellow;
      text-shadow: 0.1em 0.1em black;
    }
    

    결과

    image

    한결 heading과 일반 내용이 구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
    profile

    FE Developer 박승훈

   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