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go
Search검색어를 포함하는 게시물들이 최신순으로 표시됩니다.
    Table of Contents
    [Python] 리스트(List)

    이미지 보기

    [Python] 리스트(List)

    • 21.07.14 작성

    • 읽는 데 4

    TOC

    리스트 [ ]

    1. 리스트의 형식

    #가정 1. 지하철 칸별로 10명, 20명, 30명이 있다고 가정
    
    subway1 = 10
    subway2 = 20
    subway3 = 30
    
    # 이는 다음과 같다.
    subway = [10, 20, 30]
    
    # 출력을 해보자.
    print(subway)
    

    2. 리스트와 index

    # 가정 2. subway에 다음과 같은 문자열을 지정한다고 가정
    subway = ["유재석", "박명수", "조세호"]
    print(subway)  # 출력값 : ['유재석', '박명수', '조세호']
    
    # 조세호는 몇 번째 칸에 타고 있는가?
    print(subway.index("조세호"))  # 0, 1, 2 이므로 2번째
    

    3. 리스트와 여러 함수들

    가. append

    • 리스트의 맨 뒤에 개체 추가 함수
    # 다음 정류장에서 '하하'가 탄다고 가정
    subway = ["유재석", "박명수", "조세호"]
    
    subway.append("하하")
    print(subway)  # 출력값 : ['유재석', '박명수', '조세호', '하하']
    

    나. insert

    • 정해진 index 위치에 개체 추가 함수
    # '정형돈'을 '박명수'와 '조세호' 사이에 넣는다고 가정
    subway = ["유재석", "박명수", "조세호", "하하"]
    
    subway.insert(2, "정형돈")
    print(subway)  # ['유재석', '박명수', '정형돈', '조세호', '하하']
    

    다. pop

    • list의 맨 뒤에서 한 개체를 꺼냄
    # 지하철에 있는 사람을 한 명씩 뒤에서 꺼냄
    subway = ["유재석", "박명수", "정형돈", "조세호", "하하"]
    print(subway.pop())  # 출력값 : ['유재석', '박명수', '정형돈', '조세호']
    print(subway.pop())  # 출력값 : ['유재석', '박명수', '정형돈']
    print(subway.pop())  # 출력값 : ['유재석', '박명수']
    print(subway.pop())  # 출력값 : ['유재석']
    

    라. count

    • list 내의 어떠한 개체의 개수를 셈
    # 같은 이름의 사람이 몇 명 있는지 확인
    subway = ["유재석", "박명수", "정형돈", "조세호", "하하", "유재석"]
    
    print(subway.count("유재석"))  # list에서 "유재석" 의 개수 출력, 2
    

    마. sort

    • 리스트 내의 개체를 점점 크게 정렬
    num_list = [5, 2, 4, 3, 1]
    
    num_list.sort()
    print(num_list)  # 출력값 : [1, 2, 3, 4, 5]
    

    바. reverse

    • 리스트 내의 개체를 점점 작게 정렬
    num_list = [3, 2, 4, 5, 1]
    num_list.reverse()
    print(num_list)  # 출력값 : [5, 4, 3, 2, 1]
    

    사. clear

    • 리스트 내의 개체를 모두 제거
    num_list = [1, 2, 3, 4, 5]
    num_list.clear()
    print(num_list)  # 출력값 : [], 비어있는 리스트
    

    아. extend

    • 2개의 list를 병합하여 확장할 때 사용
    list_A = [1, 2, 3, 4, 5]
    list_B = [6, 7, 8, 9, 10]
    
    list_A.extend(list_B)  # list_A 에 list_B 붙여 확장
    print(num_list)  # 출력값 :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    

    4. 리스트의 특징

    • 여러 형태의 데이터들을 혼용할 수 있다.
    # 문자형, 숫자형, Boolean형
    mix_list = ["조세호", 20, True]
    
    print(mix_list)
    # 출력값 : ['조세호', 20, True]
    

    Reference

    profile

    FE Developer 박승훈

   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