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C
시간복잡도 표기법
Big-Oh 표기
- 복잡도의 점근적 상한
- "최대 이만큼의 시간이 걸린다."
Big-Omega 표기
- 복잡도의 점근적 하한
- "최소 이만큼의 시간이 걸린다."
Theta 표기
- Big-Oh와 Big-Omega가 같은 경우에 사용
- n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증가율을 가진다.
- "항상 이만큼의 시간은 걸린다."
수와 표현
비트와 logn
- k개의 비트를 사용하면 **0부터 2^(k-1)**까지 표현 가능
- n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비트가 필요할까
2^(k-1)-1 >= n
이 성립해야 한다.k >= log(n+1)
이므로 약 logn 비트가 필요
logn이란
- 2의 몇 승이 n이 되느냐의 답
- n을 표현하는 데에 몇 비트가 필요한가
- 1로 시작해서 계속 두 배를 할 때 몇 번 해야하는가
- n을 2로 계속 나눌 때 몇 번 나누면 거의 1이 되는가